첫번째 이야기 : 도시의 형태와 생활





<우리는 도시에서 행복한가>에서 인용 (찰스 몽고메리, 미디어윌)


도시는 누구를 위한 공간인가


 시장선거에 3번째 도전해서 마침내 시장이 된 엔리케 페날로사는 도시 형태와 도시 문화 사이에 내재적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엔리케 페날로사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시민 정신을 가르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도시 자체가 형태, 시스템, 서비스에서 직접 철학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어쩌면 소득의 평등보다도 삶의 질에 있어 평등이 더 중요합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주민들이 자신이 열등하다고 느끼지 않는 환경, 자신이 따돌림 당했다고 느끼지 않는 환경입니다."


 중산층이 사는 북쪽 외곽 동네에 도착했을 때 엔리케 페날로사는 근로자 두 명이 자전거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고 가는 모습을 보며 내게 말했다. "저 사람들 보이시죠? 저 사람들은 자전거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면서 새로운 자부심을 느낍니다."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었다. 자전거 도로에서 자전거를 탄다고 해서 자부심을 느낄 사람이 세상에 있겠는가?

 "왜냐하면 자전거를 타는 경험에서 자존감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전에는 보고타 시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나 자전거를 탔고, 자전거 타는 사람들이 차로에 방해가 되는 귀찮은 조재로 대우받았습니다. 자전거 도로는 가장 큰 상징적 가치를 의미합니다. 자전거 도로는 30달러짜리 자전거를 가진 시민이 3만 달러짜리 BMW 자동차를 가진 시민과 또같이 소중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버스 시스템도 마찬가지입니다."



 페날로사 시장이 취임하고 3년 뒤 보고타 시에 나타난 변화는 놀라웠다. 도심이 되살아났다. 학교 등록률이 30퍼센트 증가했다. 2001년 보고타 시에서 자전거 통근자 수는 3년 전의 두 배에 달했다. 자전거 통근자는 최저임금 근로자의 1.5개월분의 월급에 해당하는 돈을 아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가장 놀라운 부분은 이것이다. 공정한 도시 창조에 주안점을 둔 행복한 도시 건설 프로그램으로 빈곤층만 혜택을 본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시민의 생활이 나아졌다는 점이다. 

 트랜스밀레니오 버스 통행으로 많은 시민들이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개인 승용차 운전자들의 이동 속도도 전보다 빨라졌다. 평균 통근시간은 20퍼센트 빨라졌고 도로 소음이 감소했다. 페날로사 시장이 임기를 마칠 무렵 보고타 시의 교통사고율, 살인범죄율은 3년 전보다 낮아졌다. 트랜스밀레니오 버스 운행 지역의 유독가스 배출량과 스모그가 줄었다. 



"20년 전, 보고타 시민의 80퍼센트가 미래를 완전히 비관했습니다. 현재는 대다수 시민이 미래를 낙관합니다. 이것이 왜 중요할까요? 도시는 각 시민이 생각하는 도시 이미지의 총합이기 때문입니다. 도시는 주관적인 것입니다."


Third theme



Suzy/

서울에서 20여년을 살면서 많은 곳을 가보았고 많은 일을 겪어보았다. 대학을 자퇴하고 유학을 가고 싶은 마음, 삶의 터전을 다른 나라로 옮기고 싶은 마음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방인으로써 외국에 사는 것이 서울에서 일어나는 불합리와 부조리를 목격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라는 걱정이, 그 마음들의 크기를 줄여주었다. 부조리의 옹호자들을 언제까지 견딜 수 있을진 모르겠지만 난 서울이 좋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고 내가 인간으로 살아온 기억들이 있는 도시다. 하지만 아마 다른 나라나 도시로 가게 된다고 하더라도, 거기서 삶의 가지를 치기 시작하면 서울의 가치는 대체될 수도 있다. 


도시의 오리지널리티란 결국 얼마나 예쁜 간판을 다는 것인가, 얼마나 화려한 장소를 만드는가가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이 어떤 이야기이다. '이야기'란 것이 배부른 중산층의 돈놀음 혹은 지식인인척 하는 이들의 말장난처럼 여겨지는 한국 속에서 서울은 어떤 도시가 될 것인가?



[Extra Sounds] A Night in December


 
  
'La Nuit de Décembre', Alfred de Musset

...

Qui donc es-tu, spectre de ma jeunesse,
Pèlerin que rien n'a lassé ?
Dis-moi pourquoi je te trouve sans cesse
Assis dans l'ombre où j'ai passé.
Qui donc es-tu, visiteur solitaire,
Hôte assidu de mes douleurs ?
Qu'as-tu donc fait pour me suivre sur terre ?
Qui donc es-tu, qui donc es-tu, mon frère,
Qui n'apparais qu'au jour des pleurs ?

[Extra Story] "The only truth is love beyond reason."



첫 번째 이야기.
 
 

로렌스 애니웨이(Laurence Anyways)’SNS에서 본 "마음은 늘 짐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흐릅니다."라는 문장을 떠올리게 했다. 예전부터 그 문장을 쓴 에디터의 글을 좋아했었는데, 문득 이 문장을 보니 옛날에 스크랩 해 둔 글들이 생각났다. 만남과 헤어짐에 관한, 담백하면서도 정제된, 그렇지만 솔직한 문장들.  그 중에는 연인의 사랑을 의심하는 이들에게 "세상에는 허브의 종류나 크레파스의 색깔 수와는 비교할 수 없는, 수많은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말하는 글도 있었다.

사랑은, 그런 엄청난 종류의 사람들 중 '누군가'들이 만나서 하는 것이기에, 우리가 아는 단어들로 워딩(wording) 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논리로 정리할 수 없다. 그런 것들로 정리하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면 사랑도 아닐 거다. 우리도 그게 뭔지 잘 모르겠으니까, '연애', '결혼' 혹은 케미스트리인연같은 개념으로 설명해 보려고 하는 거다. 채팅방에서 친구들이 연애에 관해 풀어내던 썰들이 생각났다. 다들 '노력', '들이대기', '관심끌기', '연락' 같은 단어로 서로를 설득하려 하다, 결국 자기 자신을 확신 시켜보고자 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실패했다. 우리의 일상적인 단어들로는 우리는 어떤 확신도 얻을 수 없었다. 결국 사랑에 관해서는 어떤 말도 부질없구나,란 결론에 이르렀다


어쩌면 그런 면에서 우리는 우디 앨런이나 자비에 돌란의 주인공들을 본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무엇이 사랑이고 아닌지 애써 정의 내리려 하지도 않고 미래나 관계에 대한 아무 계획도 없이 그냥 자신의 모든 것을 투신한다. 어느 시점에서는 그들이 정말 상대방을 사랑하는지 그냥 사랑을 사랑하는 것인지도 모를 정도다.
 
 
 
 

불꽃 같은 사랑에 있어서는 자비에 돌란의 인물들이 우디 앨런보다 한 수 위이긴 하다. 돌란은 알프레드 드 뮈세(Alfred de Musset)의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려 한다. ‘하트비트로렌스 애니웨이를 보면 알 수 있다. ‘하트비트는 아예 오프닝에서부터 문장으로 영화의 주제를 선포한다.

“The only truth is love beyond reason.”

 


 

두 번째 이야기.

 K 선배한테 전화가 왔다. 그 오빠는 늘 N 선배하고 술을 마실 때만 연락을 하고, 언제나 질문은 한 가지다. 연애 잘 하고 있니. 남자들은 근황 이야기 할 때 신기할 정도로 정말 다 그것만 물어본다. 하지만 K 오빠는여자 이야기혹은 남자 이야기하기를 좋아해서라거나 남의 사생활이 궁금해서가 아니라 엄청난 낭만주의자라서 그런 거라는 걸 난 잘 알고 있다. K오빠는 늘 사랑 이야기가 인생의 가장 중요한 뼈대라고 생각하고, 다른 것들은 그냥 이런저런 곁가지 에피소드라고 생각한다.

사람 인연이라는 것이 내 의지대로 잘 되지 않는다고 말하자, K 오빠는 

 "수지야, 난 널 믿는다. 믿는다는 게 뭐냐면, 넌 잔머리를 굴려 널 버리거나 팔 수 있는 상황에서도 그러지 않을 거란 걸 믿는다고."

란다. 그건 마치 넌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는, 혹은 누군가에게 사랑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충분하다고 격려해주는 것 같았다.

그러면서 오빠는 최근에 70대 노인이 부인을 살해한 사건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 노인이 부인을 살해한 이유는 의처증 때문이었다. 오빠는 나이 칠십 먹어서도 부인이 다른 남자를 만날까 불안해 하는 그 사랑이 얼마나 대단하냐고 했다. 사실 나는 의처증은 사랑과는 다른 정신질환적 기제라고 생각했지만 어쨌거나 오빠가 무슨 말을 하고 싶어하는 지는 잘 알았기 때문에 그냥 맞장구를 쳐주었다.

 사랑이야, 사랑. 그게 제일 중요한 거야.” 라고, 오빠는 여러 번 되풀이 해 말했다.

 

 
 

세 번째 이야기.

 우리는 웃고, 울고, 즐거워하고, 분노하고, 괴로워하다가 결국 뭐가 뭔지 모르겠다고 외치며 백기를 드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밤새도록 혹은 하루 종일 심장이 두근대기도 하고 반대로 그 사람을 사랑했단 이유로 죽일 듯한 증오를 품게 되기도 한다. 우리의 마음은 사랑에 빠지는 순간 이미 우리의 손을 벗어나 멋대로 이리저리 튀어 다닌다. 온전히 내 것인 줄 알았던 나의 마음이 이미 있던 자리를 벗어나 내가 모르는 어딘가로 탈주한 것을 알았을 때의 황망함은 마치 낮잠을 자고 일어나니 해가 지고 있을 때의 그 기분과도 비슷하다.

 우리는 언제까지 이 롤러코스터 같은 게임을 계속해야 하는 걸까? 확실한 것은 그것조차 기약이 없다는 것뿐이다. 뮈세의 말 대로 우리에게 남겨진 유일한 진실은 이성을 잃은 사랑 뿐이다.
 
/Suzy

PATHOS OF THE SPACES PART.2 : 우디 앨런과 여행객들



 우디 앨런의 영화들 중에는 제목에 도시의 이름이 들어가는, 도시 시리즈가 있다.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미드나잇 인 파리>, <로마 위드 러브> 등의 영화들인데, 각 도시 관광청의 협찬 탓도 물론 있겠지만 각 도시의 통념적 파토스 (혹은 페이소스’)를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함도 있지 않나 싶다.









 <로마 위드 러브>는 여러가지 소동과 유머러스하고 비현실적인 에피소드들을 엮어 밝고 활기찬 동시에 조금은 소란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는 파리라는 도시의 유구한 인문학적, 예술적 역사와 유산, 그에 대해 타국인들이 품고 있는 모종의 판타지를 미국인 주인공의 환각(?)으로 풀어낸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인데, 보편적 윤리에서 한참 벗어난 애정관계를 바르셀로나라는 자유분방한 남부 유럽 도시의 이미지에 힘입어 거침없이 이야기한다. 파토스(감성)가 로고스(이성)의 반대 개념이란 점을 생각해 보면,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속 주인공들의 말도 안 되는 애정관계들이 필연적 인과관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순전히 100%  감정적 충동에 의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충동의 불길에 기름을 부어주는 것이 바로 바르셀로나라는 도시다.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라는 이 영화의 한국어 번안 제목은, 이야기를 풀어나감에 있어서 그 이야기의 배경 공간이 주는 감성의 역할이 생각보다 크다는 걸 한 방에 깨닫게 해 주는 좋은 예다.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는 영화 내용에 대한 강력한 스포일러인 동시에 나름 주인공인 비키를 아예 극 중 조연으로 밀어 버린다. 거기다가 '바르셀로나'라는 중요한 표상 또한 무시함으로써 도시 특유의 파토스를 순식간에 사랑과 전쟁 식의 치정으로 전락시킨다.











 우디 앨런의 영화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인간들의 감정을 충동질 한다. 동경하던 것에 회의를 느끼게 하고, 사랑스럽게 여기던 것에 권태를 느끼게 한다. 반대로 이해할 수 없던 것에 끌리게 하고, 모르는 것에 도전해 보고 싶게 한다. 이국의 도시라는 이질적 공간이 바로 그런 충동을 더욱 강력하게 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우디 앨런의 도시 시리즈들은 사람들이 여행을 동경하는 이유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우리는 제3, 외부인의 입장에서, 도시들의 어떤 이미지를 사랑한다. 그 도시에 발을 디디기도 전에 우리는 그 공간에서 어떤 느낌을 느끼고 싶은지 이미 정해놓고 출발한다. 남부 유럽의 강렬한 햇살과 자유분방함, 혹은 파리의 낭만적이고 지적인 느낌과 같은 것들은, 이질감이 없어지고 그 공간에 동화되기 시작하면 사실 잘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도시의 감성이란 것은 온전히 여행자만이 느끼는 특권일지도 모른다. /Suzy Kim


PATHOS OF THE SPACES PART.1 : A WORLD WITHOUT US




A SPACE IN SEOUL 1





A SPACE IN SEOUL 2





A SPACE IN SEOUL 3






A SPACE IN SEOUL 4






Edward Hopper <Early Sunday Morning>






Edward Hopper <House by Railroad>






Edward Hopper <Rooms for Tourists>






Edward Hopper <Seven AM>






Edward Hopper <Sun in an Empty Room>






Edward Hopper <The Circle Theater>






Edward Hopper <Rooms by the Sea>


/Suzy Kim

All about your space : FvF - freunde von freunden








www.freundevonfreunden.com



This is the web site all about the space where you are. It's include bedroom, kitchen, workplace, and your favorite cafe. you'll be surprised by variety of selection they have. I love the way of interview what they are doing. It's quite different with others'.

They display pictures of the specific space what they decided to show to the readers then start to put some story on it. it's literally 'put'. I mean, there is a small black spot on the picture so if you move on your cursor to the object in the picture you'll see the short sentence about it. I can tell it's such a technology thing for the web magazine. 

As moving your eyes go by to the below, all the idea what they want to deliver will be gradually clear in your head. all the people have different taste, mood and idea for their ideal space. by sharing each one's think, it can be such a great source for building someone's future space. / Jin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