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Sounds] A Night in December


 
  
'La Nuit de Décembre', Alfred de Musset

...

Qui donc es-tu, spectre de ma jeunesse,
Pèlerin que rien n'a lassé ?
Dis-moi pourquoi je te trouve sans cesse
Assis dans l'ombre où j'ai passé.
Qui donc es-tu, visiteur solitaire,
Hôte assidu de mes douleurs ?
Qu'as-tu donc fait pour me suivre sur terre ?
Qui donc es-tu, qui donc es-tu, mon frère,
Qui n'apparais qu'au jour des pleurs ?

[Extra Story] "The only truth is love beyond reason."



첫 번째 이야기.
 
 

로렌스 애니웨이(Laurence Anyways)’SNS에서 본 "마음은 늘 짐작과는 다른 방향으로 흐릅니다."라는 문장을 떠올리게 했다. 예전부터 그 문장을 쓴 에디터의 글을 좋아했었는데, 문득 이 문장을 보니 옛날에 스크랩 해 둔 글들이 생각났다. 만남과 헤어짐에 관한, 담백하면서도 정제된, 그렇지만 솔직한 문장들.  그 중에는 연인의 사랑을 의심하는 이들에게 "세상에는 허브의 종류나 크레파스의 색깔 수와는 비교할 수 없는, 수많은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말하는 글도 있었다.

사랑은, 그런 엄청난 종류의 사람들 중 '누군가'들이 만나서 하는 것이기에, 우리가 아는 단어들로 워딩(wording) 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논리로 정리할 수 없다. 그런 것들로 정리하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면 사랑도 아닐 거다. 우리도 그게 뭔지 잘 모르겠으니까, '연애', '결혼' 혹은 케미스트리인연같은 개념으로 설명해 보려고 하는 거다. 채팅방에서 친구들이 연애에 관해 풀어내던 썰들이 생각났다. 다들 '노력', '들이대기', '관심끌기', '연락' 같은 단어로 서로를 설득하려 하다, 결국 자기 자신을 확신 시켜보고자 했다. 하지만 우리는 모두 실패했다. 우리의 일상적인 단어들로는 우리는 어떤 확신도 얻을 수 없었다. 결국 사랑에 관해서는 어떤 말도 부질없구나,란 결론에 이르렀다


어쩌면 그런 면에서 우리는 우디 앨런이나 자비에 돌란의 주인공들을 본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무엇이 사랑이고 아닌지 애써 정의 내리려 하지도 않고 미래나 관계에 대한 아무 계획도 없이 그냥 자신의 모든 것을 투신한다. 어느 시점에서는 그들이 정말 상대방을 사랑하는지 그냥 사랑을 사랑하는 것인지도 모를 정도다.
 
 
 
 

불꽃 같은 사랑에 있어서는 자비에 돌란의 인물들이 우디 앨런보다 한 수 위이긴 하다. 돌란은 알프레드 드 뮈세(Alfred de Musset)의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려 한다. ‘하트비트로렌스 애니웨이를 보면 알 수 있다. ‘하트비트는 아예 오프닝에서부터 문장으로 영화의 주제를 선포한다.

“The only truth is love beyond reason.”

 


 

두 번째 이야기.

 K 선배한테 전화가 왔다. 그 오빠는 늘 N 선배하고 술을 마실 때만 연락을 하고, 언제나 질문은 한 가지다. 연애 잘 하고 있니. 남자들은 근황 이야기 할 때 신기할 정도로 정말 다 그것만 물어본다. 하지만 K 오빠는여자 이야기혹은 남자 이야기하기를 좋아해서라거나 남의 사생활이 궁금해서가 아니라 엄청난 낭만주의자라서 그런 거라는 걸 난 잘 알고 있다. K오빠는 늘 사랑 이야기가 인생의 가장 중요한 뼈대라고 생각하고, 다른 것들은 그냥 이런저런 곁가지 에피소드라고 생각한다.

사람 인연이라는 것이 내 의지대로 잘 되지 않는다고 말하자, K 오빠는 

 "수지야, 난 널 믿는다. 믿는다는 게 뭐냐면, 넌 잔머리를 굴려 널 버리거나 팔 수 있는 상황에서도 그러지 않을 거란 걸 믿는다고."

란다. 그건 마치 넌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는, 혹은 누군가에게 사랑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충분하다고 격려해주는 것 같았다.

그러면서 오빠는 최근에 70대 노인이 부인을 살해한 사건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 노인이 부인을 살해한 이유는 의처증 때문이었다. 오빠는 나이 칠십 먹어서도 부인이 다른 남자를 만날까 불안해 하는 그 사랑이 얼마나 대단하냐고 했다. 사실 나는 의처증은 사랑과는 다른 정신질환적 기제라고 생각했지만 어쨌거나 오빠가 무슨 말을 하고 싶어하는 지는 잘 알았기 때문에 그냥 맞장구를 쳐주었다.

 사랑이야, 사랑. 그게 제일 중요한 거야.” 라고, 오빠는 여러 번 되풀이 해 말했다.

 

 
 

세 번째 이야기.

 우리는 웃고, 울고, 즐거워하고, 분노하고, 괴로워하다가 결국 뭐가 뭔지 모르겠다고 외치며 백기를 드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밤새도록 혹은 하루 종일 심장이 두근대기도 하고 반대로 그 사람을 사랑했단 이유로 죽일 듯한 증오를 품게 되기도 한다. 우리의 마음은 사랑에 빠지는 순간 이미 우리의 손을 벗어나 멋대로 이리저리 튀어 다닌다. 온전히 내 것인 줄 알았던 나의 마음이 이미 있던 자리를 벗어나 내가 모르는 어딘가로 탈주한 것을 알았을 때의 황망함은 마치 낮잠을 자고 일어나니 해가 지고 있을 때의 그 기분과도 비슷하다.

 우리는 언제까지 이 롤러코스터 같은 게임을 계속해야 하는 걸까? 확실한 것은 그것조차 기약이 없다는 것뿐이다. 뮈세의 말 대로 우리에게 남겨진 유일한 진실은 이성을 잃은 사랑 뿐이다.
 
/Suzy

PATHOS OF THE SPACES PART.2 : 우디 앨런과 여행객들



 우디 앨런의 영화들 중에는 제목에 도시의 이름이 들어가는, 도시 시리즈가 있다.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미드나잇 인 파리>, <로마 위드 러브> 등의 영화들인데, 각 도시 관광청의 협찬 탓도 물론 있겠지만 각 도시의 통념적 파토스 (혹은 페이소스’)를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하고자 함도 있지 않나 싶다.









 <로마 위드 러브>는 여러가지 소동과 유머러스하고 비현실적인 에피소드들을 엮어 밝고 활기찬 동시에 조금은 소란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는 파리라는 도시의 유구한 인문학적, 예술적 역사와 유산, 그에 대해 타국인들이 품고 있는 모종의 판타지를 미국인 주인공의 환각(?)으로 풀어낸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인데, 보편적 윤리에서 한참 벗어난 애정관계를 바르셀로나라는 자유분방한 남부 유럽 도시의 이미지에 힘입어 거침없이 이야기한다. 파토스(감성)가 로고스(이성)의 반대 개념이란 점을 생각해 보면,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속 주인공들의 말도 안 되는 애정관계들이 필연적 인과관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순전히 100%  감정적 충동에 의한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충동의 불길에 기름을 부어주는 것이 바로 바르셀로나라는 도시다.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라는 이 영화의 한국어 번안 제목은, 이야기를 풀어나감에 있어서 그 이야기의 배경 공간이 주는 감성의 역할이 생각보다 크다는 걸 한 방에 깨닫게 해 주는 좋은 예다.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는 영화 내용에 대한 강력한 스포일러인 동시에 나름 주인공인 비키를 아예 극 중 조연으로 밀어 버린다. 거기다가 '바르셀로나'라는 중요한 표상 또한 무시함으로써 도시 특유의 파토스를 순식간에 사랑과 전쟁 식의 치정으로 전락시킨다.











 우디 앨런의 영화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인간들의 감정을 충동질 한다. 동경하던 것에 회의를 느끼게 하고, 사랑스럽게 여기던 것에 권태를 느끼게 한다. 반대로 이해할 수 없던 것에 끌리게 하고, 모르는 것에 도전해 보고 싶게 한다. 이국의 도시라는 이질적 공간이 바로 그런 충동을 더욱 강력하게 하는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우디 앨런의 도시 시리즈들은 사람들이 여행을 동경하는 이유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우리는 제3, 외부인의 입장에서, 도시들의 어떤 이미지를 사랑한다. 그 도시에 발을 디디기도 전에 우리는 그 공간에서 어떤 느낌을 느끼고 싶은지 이미 정해놓고 출발한다. 남부 유럽의 강렬한 햇살과 자유분방함, 혹은 파리의 낭만적이고 지적인 느낌과 같은 것들은, 이질감이 없어지고 그 공간에 동화되기 시작하면 사실 잘 느껴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도시의 감성이란 것은 온전히 여행자만이 느끼는 특권일지도 모른다. /Suzy Kim


PATHOS OF THE SPACES PART.1 : A WORLD WITHOUT US




A SPACE IN SEOUL 1





A SPACE IN SEOUL 2





A SPACE IN SEOUL 3






A SPACE IN SEOUL 4






Edward Hopper <Early Sunday Morning>






Edward Hopper <House by Railroad>






Edward Hopper <Rooms for Tourists>






Edward Hopper <Seven AM>






Edward Hopper <Sun in an Empty Room>






Edward Hopper <The Circle Theater>






Edward Hopper <Rooms by the Sea>


/Suzy Kim

All about your space : FvF - freunde von freunden








www.freundevonfreunden.com



This is the web site all about the space where you are. It's include bedroom, kitchen, workplace, and your favorite cafe. you'll be surprised by variety of selection they have. I love the way of interview what they are doing. It's quite different with others'.

They display pictures of the specific space what they decided to show to the readers then start to put some story on it. it's literally 'put'. I mean, there is a small black spot on the picture so if you move on your cursor to the object in the picture you'll see the short sentence about it. I can tell it's such a technology thing for the web magazine. 

As moving your eyes go by to the below, all the idea what they want to deliver will be gradually clear in your head. all the people have different taste, mood and idea for their ideal space. by sharing each one's think, it can be such a great source for building someone's future space. / Jin Youn






Home of Human


미국의 디트로이트 시티가 파산했다. 도시가 파산을 했다는 사실도 신기했지만, 더욱 흥미로웠던 것은 시민들이 이주하고 버려진 동네 집들의 모습이었다.


http://www.1800politics.com/democratic-controlled-detroit-defaults-on-2-5-billion-of-debt/


http://www.time.com/time/photogallery/0,29307,1882089,00.html



http://www.time.com/time/photogallery/0,29307,1882089_1850981,00.html

최근에 들어서야 슬럼화 되기 시작한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된 모습을 보면서, 인간이 한 때 거주했다 떠나간 곳은 폐허가 된다는, 별로 놀랍지 않은 사실을 새삼 실감했다. 아예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았던 곳과 달리, 한 때 인간의 손으로 가꾸어졌던 곳들은 인간이 없이는 그저 폐허에 불과했다.

왜 그럴까?

사람은 자신의 몸을 치장 하듯이, 자기가 존재하는 공간을 꾸미고 싶어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느끼는 곳에 존재하고 싶어하지, 어색하고 불편한 곳에 있고 싶어하지 않는다. 사람마다 아름답게 느끼는 가치는 각자 달라서, 각자의 자신의 공간 또한 각양각색으로 꾸민다. 어떤 이는 울타리가 없는 넓은 잔디밭에 이웃들이 자유로이 드나들기를 원하고, 어떤 이는 고된 하루를 끝내고 아무 생각 없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작은 방을 원하고, 어떤 이는 도시의 불빛이 반사되는 매끈한 대리석 바닥을 원한다. 집은, 인간의 얼굴과 옷차림만큼이나, 그 사람의 취향과 가치관을 여과 없이 반영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애정을 가진 모든 대상에게 그러하든 자신이 사랑하는 집에도 자신을 투영한다.




그러니 어떤 공간을 관리하기를 포기한다는 것은, 그 공간에 대한 애정이 사라진다는 것이고 그 공간에는 결국 인간의 모습이 더 이상 투영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어떤 인간이 존재했었음을 알지만 동시에 그가 이 곳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 그런 허무함을, 우리는 폐허에서 느낄 수 있다. 디트로이트 시티의 폐허가 된 공간들이 나에게 강력한 인상으로 다가온 것도 그렇기 때문일 것이다.

디트로이트 시티에 대해 서핑을 하던 중 또 한가지 발견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는데, 이번 Dark Rye매거진의 이슈가 바로 디트로이트 시티인 것. 그 중에서도 디트로이트 버스 컴퍼니(Detroit Bus Company)를 운영하는 Andy Didorosi의 기사였다.

도시에서 사람들이 빠져나가면서, 디트로이트의 대중교통인 M-1 철도가 폐업했다. 이 상황에 분개한 앤디는 버스를 사서, 지역 아티스트들의 그래피티로 버스를 리모델링 한 후 디트로이트 버스 컴퍼니를 설립해, 디트로이트 시내-교외를 다니는 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옳은 방식으로 자신의 집이 폐허가 되지 않도록 지켜 나가고 있다.

Salon de Something의 첫 번째 테마는 공간이다. 우리는 사이버 상의 어떤 공간을 만들고 그 곳에 물리적 공간의 이름을 붙였다. 우리는 이 곳이 언제나 문이 열려있어 누구나 자유롭게 들어와 우리의 이야기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넓고 쾌적한 살롱이 되기를 원한다. 우리는 벌써 우리의 모습을 이 곳에 투영하기 시작했고 이 곳은 서서히 진짜 우리의 집 안에 있는 거실처럼 느껴지기 시작했다. /Suzy Kim





디오라마(diorama)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보여주고자 하는 오브제들을 축소, 압축해서 보여주는 방식이다. Jake & Dinos Chapman 형제의 <The Sum of all Evil>은 그 제목처럼 세상의 모든 악evil들을 결집시킨, 엄청난 스케일의 디오라마 작품이다. 나치 군인, 맥도날드와 같은 상징들과 학살, 전쟁, 테러 등의 네러티브가 가로세로 2미터 정도의 유리 상자 안에 응축되어 있다. 홍콩의 White Cube 갤러리에서 전시 중이며, 보다 작은 크기의 연작 시리즈들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인간 사회의 영원한 문제 의식인 ‘폭력’을 기괴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표현한, 강렬한 작품들을 볼 수 있다.

Diorama is a method that reduces and compresses the objects to be showed. Jake & Dinos Chapman’s <The Sum of all Evil> is a diorama work gathered all evil objects and symbols as its title. Evil symbols such as Nazi soldiers and McDonald and narratives like massacre, war and terrorism are condensed in vitrines. White Cube Gallery Hong Kong is exhibiting <The Sum of all Evil> including serial works. You can watch fierce works showing ‘violence’, which is an eternal critical mind of humanity.


First Theme


첫 번째 살롱의 테마는 '공간'입니다. 

Introduction

 Salon이란 단어는 영화 '미드나잇인파리'에서처럼, 사람들이 모여 자신의 작업과 취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들에서 힌트를 얻었고, 우리가 좋아하는 혹은 알고싶은 무언가를 통칭하는 'something'을 그 뒤에 접목시켰습니다. Salon de Something 이라는 제목 아래 붙은 Creators' flat은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살롱에 대한 일종의 컨셉입니다. 플랫메이트들처럼, 하나의 아파트에 함께 살며 거실에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이미지의 공간을 구상했고 이것을 텍스트로 풀어 본 컨셉입니다. 
 우리는 아름다운 혹은 멋진 작업물을 만들어내는 creator들에게 존경을 표현하는 동시에, 그 작업물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느낌을 체계적인 아카이브로 정리해 보고자 이런 공간을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이 공간을 통해 우리는 함께 소통하며 더욱 깊이 있게 취향을 증축해 보고자 합니다.

 'Salon' is the word picked from spaces in movie 'Midnight in Paris', where people gathered and had conversations about their work and tastes. We added 'something' to that, which means things we love and desire to know. The phrase 'Creators' flat' is a kind of concept for Salon de Something. Like a flat which has a living room in it, we drew up a space where people can live together and communicate and figured the image out in texts. 
 We respect the great art/culture creators and there works. We wanted to express our respects for them and at the same time, hoped to make our thoughts, ideas and impressions into constructive archives. We are trying to communicate with people and build out our tastes in depth through this space.